확률과정 및 대표 예시
1. 확률과정의 정의
확률과정
- 이산시간:
- 연속시간:
2. 마코브 과정
마코브 과정은 과거 이력 대신 현재 상태만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확률 과정이다.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다:
즉, 현재 상태
증명 흐름(조건부 확률・조건부 기대값 성질 이용)
- 조건부 확률 표현:
여기서 는 일 때 1, 아니면 0인 지시 함수이다. - 마코브 속성: 마코브 과정이므로, “과거 전체 정보(
)” 대신 “현재 상태 ”만으로도 를 구할 수 있다. 즉, 이는 과거 이력 전체를 제공하는 가 결국 “ 만으로 요약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 결론: 따라서
3. 조건부 기댓값과 마팅게일
: 시점 까지의 정보(필터레이션)- 조건부 기댓값
가 유일하게 존재함
3.1 조건부 기댓값(Conditional Expectation)의 정의
확률변수
는 -측정 가능( -대수 에 포함되는 사건들에 대해 값이 결정될 수 있어야 함).- 모든
에 대해 -
즉, 안에서의 기대값(적분)이 동일해야 한다.
이때 이러한
3.2 조건부 기댓값의 직관적 이해
- 필터레이션
-
- 예를 들어, 도박판에서 여러 번 시행한 결과가 기록된 장부가
3.3 마팅게일(Martingale)의 정의 및 조건
확률과정
- “미래의 기대값이 현재와 같다”는 뜻으로, 어떠한 공평한 게임(fair game)에서는 지금까지 얻은 돈(
3.4 마팅게일 조건의 증명(정의와의 동치성 확인)
마팅게일 조건이
- 우선, 조건부 기댓값의 정의에 따르면
- 마팅게일 가정
를 대입하면, - 따라서
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조건부 기댓값 정의와 일치한다.
반대로, 만약
3.5 반복 기댓값의 법칙(Tower Property)
이 성질은 “조건부 기댓값을 두 단계로 계산해도, 최종적으로
3.6 반복 기댓값 법칙 증명
증명을 위해서는 조건부 기댓값의 정의와 적분 분할(이중 적분) 성질을 사용한다. 임의의
3.7 공평한 게임 해석
- 마팅게일
4. 이항과정 (Binomial Process)
이항과정은 독립이고 동일한 베르누이 확률변수들을 합산하여 만든 확률 과정이다. 각 시도마다 성공 확률이 일정한 베르누이 시행을 반복하며, 특정 시점까지의 성공 횟수를 기록한다.
정의
각 시점
여기서
이항 셈 과정 (Counting Process)
시간
그러면
증명 (독립 이산 시행 합의 분포)
는 번의 독립 베르누이 시행에서 성공한 횟수를 세는 변수이다. 즉, 이고, 각 이며 이다.- “성공을
번 하고 실패를 번 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성공 횟수가 정확히 인 경우가 나오는 경우의 수는 가지이다. - 각 경우가 일어날 확률은 성공
회와 실패 회의 곱으로, 가 된다. 따라서 - 이는 바로 이항분포(
)의 정의와 일치한다.
5. 랜덤워크 (Random Walk)
랜덤워크는 이항과정의 결과를
정의
먼저 이항 시행
그리고 시간
이 합은
기댓값과 분산 계산
각
따라서
증명 (기댓값, 분산의 선형성 및 독립성 이용)
- 기댓값:
(독립성과 기댓값의 선형성 사용) - 분산:
(독립성으로 서로 다른 의 공분산이 0이 되므로, 분산이 합으로 분리된다)
대칭 랜덤워크 (Symmetric Random Walk)와 브라운 운동 근사
특별히
이 대칭 랜덤워크를 연속 시간 척도로 볼 수 있도록 적절히 규모화하면, 시간이 커질 때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으로 수렴한다는 결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과정을 정의한다:
이때
증명 스케치 (단순화된 Donsker 정리)
- 각
는 , 을 가지며 서로 독립이다. 는 기댓값 0, 분산 인 합이다. 따라서 는 CLT에 의해 으로 분포 수렴한다.- 계수
이므로, 는 분산이 인 정규분포로 수렴한다. - 최종적으로, 이산 시간 점들을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하여 연속 경로를 만든 뒤, Skorokhod 공간에서의 연속 경로 수렴 정리를 적용하면
가 브라운 운동 로 수렴함을 보일 수 있다.
5. 독립정상증분 과정 (Independent and Stationary Increments Process)
확률과정
- 정상증분 (Stationary increments):
- 임의의
에 대해, 즉, 시점 와 를 어떻게 고르든, 차분 의 분포는 두 시점 간 간격 에만 의존하고 “시작 시점 ”에는 전혀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 이거나 , 여도 간격이 이므로 와 의 분포는 동일하다. - 독립증분 (Independent increments):
- 임의의
에 대하여, 이 서로 독립인 확률변수가 된다. 즉,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들에서 일어난 변화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위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확률과정
이산시간 독립정상증분 과정
이산시간(즉,
브라운 운동 (Brownian Motion)
연속시간 예시로 가장 대표적인 독립정상증분 과정이 바로 브라운 운동이다. 물리적으로는 아주 작은 입자가 액체나 기체 속에서 무작위로 움직이는 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이다.
- 독립정상증분:
- 임의의
에 대해 즉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의 증분들은 서로 독립이다. - 가우시안 과정:
- 임의의 유한한 시간들
를 골랐을 때, 는 다변량 정규분포를 이룬다. 즉, 여러 시점에서의 값이 동시에 정규분포적 성질을 지닌다. - 자기유사성 (Self-similarity):
- 임의의 상수
에 대해, 이는 “시간을 배 늘리면, 움직임 크기는 배 커진다”는 뜻이다. 즉, 전체 과정을 확대·축소해도 확률 분포 형태가 같다는 의미다. - 마팅게일 (Martingale) 성질:
-
즉, 과거 정보가 주어졌을 때 의 기댓값은 그 시점의 값 와 같아진다. 이를 통해 브라운 운동은 “기대값 관점에서 편향(bias)이 없는 무작위 경로”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정리하자면, 브라운 운동은 “평균이 0, 분산이 시간차에 비례하는 정규 분포 증분”과 “서로 독립인 증분”을 만족하는 연속 확률과정이며, 동시에 다변량 정규분포 구조와 자기유사성, 마팅게일 성질을 모두 갖춘다.
추가 설명
1) 정상증분이란 “언제 시작했는지(시작 시점)는 중요하지 않고,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만 중요하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 독립증분이란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들에서 일어난 변화는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3) 이산시간 예시로는 “서로 독립이고 동일분포(Bernoulli, 이항 등)를 따르는 확률변수들의 합”이 있으며, 연속시간 예시로는 브라운 운동이나 푸아송 과정이 있다.
6. 브라운 운동 (Brownian Motion)
브라운 운동은 수학적으로 “무작위 연속 이동”을 모델링한 확률과정이다. 한 점에서 시작하여 작은 무작위 걸음을 계속하다 보면,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흔들리듯 움직이는데, 이를 이상적인 수학적 모델로 나타낸 것이 브라운 운동이다.
표준 브라운 운동
- 초기값이 0으로 정해진다. 즉, “시작점”을 원점(0)으로 놓고 출발한다는 의미이다.
- 연속 경로 (Continuous path)
- 시간
가 조금씩 변할 때, 도 끊김 없이 부드럽게 움직인다(수학적으로는 연속 함수). 현실의 입자처럼 갑자기 튀어오르는 점프(jump)가 없고, 아주 작은 구간 안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움직인다. - 증분 분포 (Increment distribution)
- 임의의
에 대해 즉, 시간 간격이 만큼 흘렀을 때 이동한 거리(증분)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다시 말해, 간격이 길어질수록 분산이 커져서 더 멀리 퍼질 가능성이 커진다. - 독립증분 (Independent increments)
-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들에서의 이동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이다. 예를 들어, 시점
에서 과 는 서로 독립 확률변수이다.
브라운 운동의 주요 성질
위 네 가지 기본 조건에서 파생되는 중요한 성질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각각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 마팅게일 (Martingale) 성질:
-
“현재 시점 에서 앞으로 기대되는 평균 위치는 바로 지금 위치 이다”라는 뜻이다. 즉, 그 이후로 움직일 때도 편향(bias)이 없기 때문에 먼저 알 수 있는 정보가 있다 해도, 나중 시점의 평균값은 늘 현재값 그대로이다. - 마코브 (Markov) 성질:
- 과거
대신 지금 상태 만 알면, 이후의 분포를 모두 예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 성립한다. 과거에 어떻게 왔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지금 어디에 있느냐만 중요하다. - 가우시안 과정 (Gaussian process):
- 임의의 유한한 시간 모음
을 골랐을 때, 는 다변량 정규분포(multivariate normal distribution)를 이룬다. 즉, 한 번에 여러 시점을 관찰해도 각각의 결합 분포가 정규분포적인 구조를 가진다. - 자기유사성 (Self-similarity):
- 임의의 상수
에 대하여 시간 척도를 배 확장하면, 위치 변화 폭은 배로 커진다. 즉, “보는 눈금”을 늘렸다 줄였다 해도 모양이 같다(분포 관점에서).
공분산(Covariance) 계산
브라운 운동의 공분산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증명 (공분산 계산)
먼저
마팅게일 성질 증명
브라운 운동이 마팅게일이 되는 이유는, 앞으로의 증분 평균이 항상 0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자기유사성 증명
브라운 운동의 정의에서, 임의의
7. 푸아송 과정 (Poisson Process)
푸아송 과정은 “시간이 흐르면서 랜덤하게 발생하는 사건의 누적 횟수”를 모델링하는 확률 과정이다. 예를 들어 콜센터에 전화가 걸려오는 횟수,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접속하는 횟수 등을 시간에 따라 세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수학적으로
- 초기값
- 시간 0에서 사건이 아직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 독립증분 (Independent increments)
-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에서 사건이 발생한 횟수는 서로 독립이다. 예를 들어 구간
에서 발생한 횟수와 에서 발생한 횟수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증분 분포 (Increment distribution)
- 임의의
와 에 대해, 즉, 길이가 인 시간 구간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개수는 평균이 인 포아송 분포를 따른다. 여기서 는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사건의 평균 개수(rate)”를 의미한다.
1) 직관적 설명
- 시간 구간
2) 포아송 분포 복습
어떤 확률변수
- 평균
3) 푸아송 과정의 기댓값과 분산
증명
푸아송 과정 정의에 따라, 고정된
4) 표본경로 (Sample path)
푸아송 과정
- 처음에는
5) 독립증분 성질과 계단 모양
증명(독립증분 성질과 정수 계단 형태)
- 푸아송 과정의 핵심은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 구간들의 사건 수는 서로 독립”이라는 독립증분 조건이다. 예를 들어
6) 추가 해설: 지수 분포(Interarrival times)와 푸아송 과정의 연결
푸아송 과정은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 간격”이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를 따른다는 중요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8. 브라운 다리 과정 (Brownian Bridge)
브라운 다리(Brownian Bridge)는 표준 브라운 운동
정의는 다음과 같다:
(출발점이 0으로 고정됨) (끝점도 0으로 고정됨)- 중간 시점
에서의 값 는 “원래의 브라운 운동 ”에서 “1시점에서의 위치 를 비율만큼 빼 준 것”이다.
직관적 이해
브라운 운동은 아무 제약 없이 자유롭게 움직이지만, 브라운 다리는 시간 1에 반드시 0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추가 조건이 있다. 그래서 “만약 브라운 운동이 시점 1에서
기댓값과 공분산 (Mean and Covariance)
- 기댓값:
- 공분산:
증명 (공분산 계산)
1) 먼저
, (브라운 운동의 공분산 성질) (왜냐하면 이므로) (여기서 ) .
4) 따라서
브라운 다리의 주요 성질
- 마코브 성질 (Markov property):
- 브라운 다리도 “과거 전체” 대신 “현재 위치
”만 알면, 이후 미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for 가 성립한다. - 시작과 끝이 0으로 고정:
- 브라운 다리는 “만기 값(fixed endpoint)이 0”이므로, 금융 자산의 “만기 시 보장된 가격”이 있을 때 그 중간 움직임을 모델링하는 데 쓰인다. 예를 들어, 채권의 쿠폰 지급 후 만기 상환 금액이 고정된 모델에서 유용하다.
- 연속 경로:
- 브라운 운동이 연속 경로를 가지므로, 브라운 다리 역시 시간 구간
전체에서 끊김 없는 곡선을 이룬다. - 분포 특성:
- 각 시점
에서 는 평균 0, 분산 를 가진다. (공분산 식에서 일 때 )
추가 설명: 왜 “다리(bridge)”인가?
영어로 “bridge”는 “다리”라는 뜻인데, 브라운 다리 과정은 “브라운 운동을 무조건 시간 1에 0으로 묶어 놓은 것”처럼 시작점(0)과 끝점(1)이 고정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다리처럼 양쪽이 고정”되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만약 끝점을 0이 아닌 다른 값
9. 추세 브라운 운동 (Brownian Motion with Drift)
추세 브라운 운동은 표준 브라운 운동에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경향(드리프트)”과 “진동 폭(확산계수)”을 추가한 과정이다.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선형 추세(Drift), 시간당 평균 이동 속도 : 확산계수(Volatility), 무작위 진동 크기를 결정
1) 직관적 설명
- “표준 브라운 운동
- 여기에
2) 기댓값과 분산
증명 (선형 변환 성질 이용)
1) 기댓값:
2) 분산:
3) 공분산
증명 (브라운 운동 공분산에 선형 인자 곱)
1) 정의에 따라
4) 주요 성질
- 정규분포 유지:
-
이므로, 즉, 평균이 , 분산이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 마팅게일 아님:
- 표준 브라운 운동
는 마팅게일이지만, 드리프트 가 추가되면 따라서 일 경우에는 “미래에 대한 조건부 기댓값이 항상 현재값과 같지 않으므로” 마팅게일 성질을 잃는다. - 마코브 성질:
- 여전히
는 브라운 운동에서 변환된 선형 결합이므로, “과거 전체 대신 현재 상태 만으로 미래 분포를 결정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가 성립한다. - 독립증분:
-
이며, 는 과거 정보와 독립이므로, 서로 겹치지 않는 구간의 증분들은 서로 독립이다.
10. 기하 브라운 운동 (Geometric Brownian Motion)
기하 브라운 운동은 주가나 자산 가격처럼 항상 양수인 값이 무작위로 움직이는 것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준 브라운 운동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초기값 (시간 에서의 자산 가격), . : 기댓값(드리프트 Rate), “시간당 얼마나 평균적으로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상수. : 변동성(Volatility), 무작위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상수, . 를 통해 항상 양수 값이 유지되므로, 자산 가격이 음수로 내려갈 수 없다.
1) 모델 유도 및 해석
기하 브라운 운동은 보통 미분 방정식 형태로도 나타낸다:
- 첫 번째 항
2) 로그 변환과 정규성
기하 브라운 운동의 가장 큰 장점은 “로그를 취하면 정규분포가 된다”는 점이다. 즉, 로그 변환한 확률 변수
- 먼저 정의식의 지수를 로그로 풀어 쓰면,
-
- 이로써
3) 기댓값과 분산 계산
로그정규분포의 성질에 따르면, 만약
- 기댓값:
- 분산:
여기서 지수 내부를 정리하면 따라서
결론적으로,
4) 추가 설명: 왜 로그정규분포인가?
- 브라운 운동
5) 금융 응용: Black–Scholes 모형의 기초
- 블랙–숄즈(Black–Scholes) 옵션 가격 모형에서 기하 브라운 운동을 가정하여, “주가
'Financial Engineering > 금융수학 개론(이재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수학 개론 제3장: 옵션가격이론 (0) | 2025.08.26 |
---|---|
금융수학 개론 제2장: 확률, 통계의 기초 (0) | 2025.08.19 |
금융수학 개론 제1장: 금융수학의 기초 (0) | 2025.08.19 |
4장. 확률 과정 및 확률 미분 방정식의 기초(브라운 운동의 미분 불가능성, 평균제곱수렴, 이토적분) (0) | 2025.06.02 |
금융수학 개론 (0) | 2025.05.17 |